살며 생각하며.../생활 속 이야기

數學(수학)에 대하여...

싼타마을 2009. 5. 27. 05:41

수학(數學)(Mathematics) : 수의 양 및 공간의 도형에 있어서 상호 관계되는 다양한 논리에 대하여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그 종류에는 산수, 대수학, 기하학, 해석학, 삼각법, 미분학, 적분학 등과 이들의 응용 논리의 총체적인 학문을 수학이라 합니다.

다른학문의 기초가 되기도 하며, 인류의 역사상 가장 오래전부터 발달해 온 학문입니다.

 

 

 

수학(數學) 의 어원

수학은 논리적이며 계단적인 학문입니다.

'논리'는 생각하는 데 있어서 일정한 형식이나 짜임새를 만드는 법칙을 말합니다.

'계단'이란 어떤 일을 하는 데 있어서 밟아야 하는 일정한 순서 또는 층층대를 말합니다.

따라서 수학을 배운다는 것은 기초부터 하나씩 밟고 올라가면서 논리를 쌓아가는 과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수학(數學)에 대한 한자의 정확한 뜻 풀이는 "사물의 이치나 도리를 배운다."는 것입니다. 또한 셈과 이치는 크게 다르지 않다고 할 수 있습니다. Mathematics(수학) 또는 Math는 라틴어의 Mathematica에서 유래하였고 이는 그리스어의 mathematikos, 그리고 다시 mathesis에서 유래하였습니다. 'mathesis'는 정신수양 또는 배움을 뜻합니다.

따라서 수학은 동, 서양을 막론하고 이치를 깨우치는 학문으로 시작 되었으며 모든 학문의 시작이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수학(數學) 은 패턴(Pattern)의 과학이다.

'수학의 언어' 저자 케이스 데블린은 수학은 추상적인 '패턴'을 탐구하는 것이다. 패턴은 실제일 수도 있지만 가상일 수도 있으며 시각적, 정신적일 수도 있다. 정적일 수도 있으며 동적일 수도 있고 , 질적일 수도 양적일 수도 있다.

 

이에 '수학의 언어' 저자 케이스 데블린은 수학을 패턴의 과학이라 정의하고 있다. 즉 수학자들이 하는 일은 추상적인 '패턴'을 탐구하는 것이다. 패턴은 실재일 수도 있고 가상일 수도 있으며 시각적일 수도 있고 정신적일 수도 있다. 정적일 수도 있으며 동적일 수도 있고, 질적일 수도 양적일 수도 있다.

또한 수학적 패턴은 추상적이고 복잡하기 때문에 기호 표현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패턴을 표현하기 위한 기호의 표현들이 복잡해 짐에 따라서 일반인들이 수학을 대하면 수많은 기호들에 미리 겁을 먹어버리는 결과도 종종 보게 되는데, 이러한 기호들과 친숙해 질수록 수학적 사고에 가까이갈 수 있는 것이다.

 

패턴의 종류에는

  • 산술학과 수 이론의 수와 셈의 패턴

  • 기하학의 모양의 패턴

  • 미적분학의 운동의 패턴

  • 논리학의 추론의 패턴

  • 확률의 우연의 패턴

  • 위상학의 위치의 패턴

 

: 자주 삭, 셀 수

별이름을 떠 올리고 밤하늘의 별을 찾으면 손뼉을 치며 자주 세어보던 어린시절.

 

: 별이름

여자가 떠나고 없는 임을 그리며 밤하늘에 두손을 가운데에 모아 님의 별이름을 찾고 있읍니다.

 

: 배울 학. 臼 절구 구+乂 다스릴 예+冖 덮을 멱+子 아들 자

절구 속에, 다스려 가꾼 곡식을 넣고 덮어 놓으니 아들이 따라 배운다.

 

논리(論理)(logic)는사물의 이치나 법칙성, 생각이 지녀야하는 형식이나 법칙, 말이나 글의 짜임새나 갈피를 말합니다.

 

: 言 말씀언 + 侖 둥글 륜. 의논할 론

말씀을 나누며 둥글게 살아가는 처세술에 관해 논의한다.

 

: 王 임금 왕 + 里 마을 리. 다스릴 리, 이치 이.

임금마을도 잘 다스린다.

 

: 人 사람 인 + 一 한 일 + 冊 책 책. 둥글 륜(윤), 생각할 륜.

사람을 보며 세상을 둥굴게 살아가는 생각들을 배운다.

 

: 田 밭 전 + 土 흙 토. 마을 리(이)

을 일구어 먹고 살 수 있는 이 있는 곳이 마을이다.

 

 

계단(階段)은 어떤 일을 하는데 밟아야 하는 일정한 순서 또는 층층대를 말합니다. 앞의 일정한 순서는 '단계'로 써도 무망합니다.

 

: 阜 언덕 부 + 皆 다 개. 층계 계, 섬돌 계.

언덕길을 경사가 심하여 모두 다 층계로 만들었다.

 

段 : 長 긴 장 + 殳 칠 수(몽둥이 수). 층계 단, 구분 단.

긴 방망이로 야구공을 치니, 홈런으로 층계까지 날아간다.

 

皆 : 比 견줄 비 + 白 흰 백. 다 개, 일어날 기

색을 견주어 보니, 색의 농도에 따라 모두 다르다.

 

 

'살며 생각하며... > 생활 속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소통을 위한 승부수  (0) 2009.08.15
化粧室 夜話  (0) 2009.05.27
[스크랩] 한식  (0) 2009.04.04
allblog 인증?  (0) 2008.05.22
allblog 인증?  (0) 2008.05.22